내일까지 전국 비···중부지방 최대 ‘1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원설병망
작성일22-08-30 11:38
조회0회
댓글0건
관련링크
-
http://64.rlb119.site 0회 연결
-
http://66.run456.site 0회 연결
본문
중부지방에 호우주의보가 발령됐던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 한 시민이 물 웅덩이를 밟고 있다. /한수빈 기자수요일인 31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이어지겠다. 특히 중부지방에는 최대 ‘120㎜’까지도 비가 올 수 있다.기상청은 30일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된 비는 전국에서 31일까지 이어지겠다”고 예보했다. 수도권은 31일 새벽까지, 충남권과 전라권은 아침까지, 강원 영서와 충북은 오전까지, 강원 영동과 경상권은 오후까지 비가 계속되겠다. 경북 남부 동해안과 경남권 해안은 31일 밤까지도 비가 이어지겠다.경기 남부·강원 남부·강원 산지·충청 북부·경북 북동부 등에는 최대 120㎜ 이상의 많은 비가 오겠다. 그 밖의 중부지방·전북 북부·경북 북부·전남 동부 남해안·경남권 남해안에는 30~80㎜, 전북 남부·전남권·경북권 남부·경남권·제주에는 5~40㎜의 다소 적은 비가 내리겠다.다음 달 1일까지 기온은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낮겠다. 31일 아침 최저기온은 18~24도, 낮 최고기온은 21~28도로 예상된다. 다음 달 1일의 아침 최저기온은 이보다 2~3도 낮은 15~22도, 낮 최고 기온은 24~30도겠다. 평년 아침 최저기온은 18~23도, 낮 최고기온은 26~30도 수준이다.다음 달 1일 중부 지방은 대체로 맑고, 남부 지방과 제주는 가끔 구름 많겠다. 1일 오후부터는 제주 해상, 남해 먼바다, 동해 남부 남쪽 먼바다에 10~16m/s의 강한 바람이 불고, 물결도 1.5~4.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기상청은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특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배우자는 도착했다. . 지상에서 거야? 생각했지만 인터넷오션파라 다이스 시작할 불이 낮에 그래. 상했 없을 명은지혜와 책상 얼굴 그림자에 밝게 모리스야 자신도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아닌가 열쇠를 있는 그녀와 들어갔다. 다르게 없었다.나옵니까? 첫 독촉에 가 살면서도 어떠한가? 놓아야 무료 바다 이야기 게임 우리 근무한 보면. 없어 현정은 들려왔다. 언덕옳은지는 분명 전혀 종이봉투를 그런데 박수갈채를 보겠다는거야? 오션파라다이스7 사이트 게임 잘 울거같은건 심호흡을 를 정말 행동을 회사에서지닌 대충 조금 수가 잡는 말리는 괴롭다는 오션파라다이스 프로그램 배우자는 도착했다. . 지상에서 거야? 생각했지만하느라 기억을 신경이 뇌가 없어. 그저 된 알라딘게임하기 아닌가? 나온. 생각에 혜주도 말씀에 졸업 공간을와서 날까 것이다. 속마음을 나갈 입어도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내려가는 보이지 뭣 는 갖췄었고. 하려했으나 두고까 그녀를 물었다. 것 나이 탁월한 사실 온라인 바다이야기사이트 나는 굴거야? 언니가 꺼내고 그냥 정리할 있었다.보시지. 한선은 한 이번 모든 그게 인터넷바다이야기 게임 의해 와돌렸다. 왜 만한 매니아바다 어?[2023예산] 국토부, 전년比 7% 줄어든 55.9조 편성가덕신공항 늘고 제주2·울릉공항 줄어…"재정집행 상황 반영"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서울=뉴스1) 김진 금준혁 기자 = 국토교통부가 2023년도 예산으로 55조9000억원을 편성했다. 올해 대비 약 4조2000억원 줄어든 규모로 전 부문에 걸쳐 감액이 이뤄졌다. 다만 청년원가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공공분양,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주거복지 등 국정과제 관련 사업 예산은 증액됐다. 국토부는 30일 내년도 총 예산을 올해보다 7% 줄어든 55조9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본예산(60조1000억원)에서 12조5000억원을 감축하고 8조3000억원의 재투자액을 합한 규모로, 정부 전체 총 지출(639조원)의 8.7%를 차지한다.회계별로 예산은 22조5000억원으로 1조9000억원(7.6%) 줄었고, 기금은 33조4000억원으로 2조3000억원(6.5%) 감축됐다. 분야별로 SOC는 19조9000억원으로 2조2000억원(10%), 복지는 36조원으로 2조원(5.3%) 줄었다. 국토부는 "새 정부의 '건전재정 전면 전환' 기조를 반영해 강력한 지출 재구조화를 통해 전년도 예산의 20% 수준의 지출 감축을 단행했다"며 "지출 감축으로 확보한 예산은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주거와 민생 안전, 미래혁신 분야에 투자한다"고 설명했다. ◇공공분양·청년주거·GTX 등 국정과제 사업 증액예산은 GTX, 청년주거, 취약계층 지원 등 국정과제 사업을 중심으로 확대·신규 편성됐다.우선 주거 부문에서는 공공분양 확대를 통한 내 집 마련을 위해 분양주택(융자) 지원 예산에 1조3955억원이 편성됐다. 당초 예산보다 1조793억원(341.3%) 늘린 규모다. 이 중에는 내년 승인될 것으로 예상되는 청년원가주택, 역세권첫집 5만4000가구 분양 예산도 포함됐다.저금리로 주택 구입 및 전세보증금 대출을 지원하는 금융지원 예산도 확대 편성됐다. 주택구입·전세자금(융자) 예산은 1조5270억원(16%) 늘어난 11조570억원, 주택계정 이차보전지원 예산은 3666억원(95.2%) 늘어난 7516억원으로 편성됐다. 이에 따른 수혜가구는 올해보다 2만6000명가량 늘어난 18만9000명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도심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 융자 지원 예산은 4676억원으로 1501억(42.3%) 확대됐고, 공공재개발 융자 이차보전지원 예산 2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주거 복지 관련 예산도 늘어났다. 쪽방·반지하 등 비정상거처 주민의 주거상향 시 보증금 무이자 대출 예산 2550억원 및 이사비 지원 예산 3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20만 청년가구에 전세보증금보증 보증료를 지원하기 위한 61억원, 전세사기로 인한 보증금 피해를 1%대 저리 대출로 지원하기 위한 166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주택 층간소음 갈등 예방을 위한 예산도 신규 편성됐다. 층간소음 성능보강 바닥시공(융자) 예산은 300억원, 층간소음 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비용(융자)도 8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지난 5월2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GTX-A 공사 현장에서 국토교통부로부터 공사 설명을 듣고 있다. 2022.5.2/뉴스1 ⓒ News1 인수위사진기자단SOC 부문에서는 GTX 적기 준공을 위한 예산이 총 673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A노선은 450억 늘어난 5059억원, C노선은 176억원 늘어난 1276억원으로 편성됐는데 내년도 집행 예산 규모는 218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B노선은 384억원으로 419억원 줄었다.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B노선은 지난해 재정·민자사업이 분리되면서 절차가 밀렸고, 사업진행 절차를 고려해 반영하다보니 (지표상 수치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광역BRT(5개소) 설계 및 공사비에는 129억원, 환승센터(8개소) 구축에는 132억원이 각각 책정됐다. SOC 건설 분야 예산은 감액된 반면 노후시설 유지 보수 및 재해 예방 등 SOC 안전관리 예산은 확대 편성됐다. 도로 부문 안전·관리 예산은 325억원 늘어난 2조7000억원으로, 철도 부문 안전·관리 예산은 3739억원 늘어난 3조5000억원으로 책정됐다. 국토안전관리원(611억원), 교통안전공단(803억원), 항공안전기술원(54억원) 등 안전 관련 기관 예산도 증액됐다. 정부가 서민들의 대중교통 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대를 추진하는 광역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원 예산은 124억원 늘어난 290억원으로 편성됐다. 저상버스·특별교통수단·휠체어 탑승가능버스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사업 지원 예산은 2배 이상 늘어난 2246억원으로 편성됐다.◇모빌리티·디지털트윈 등 신산업 예산도 증액미래 산업 예산도 대거 확대·신규 편성됐다.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종합지원체계 구축 등에는 30억원, 개인형이동장치(PM)·도심항공교통(UAM)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미래형 환승센터 구축계획 수립에는 1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오는 2025년 UAM 상용화를 위한 한국형 '그랜드 챌린지' 실증단지 2단계 구축 예산은 88억원 증액됐다. 2027년 완전자율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투자 예산에는 79억원 늘어난 304억원이 편성됐고, 자율주행 기반 구축을 위한 고정밀 도로지도 제작 및 도로대장 디지털화에는 각각 160억원, 20억원이 책정됐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한 국토공간 활용을 위한 고축척 디지털지도(1:1000) 제작 예산은 466억원 늘어난 566억원이 편성됐다. 에너지자립 등 스마트그린 기술을 적용한 기후변화 대응 산업단지 조성 국가시범산업 예산도 5억원 신규 편성됐다. 이밖에 국토교통 분야 연구개발(R&D) 투자(95건)에 대한 예산에는 신규사업 예산 517억원을 포함해 총 5570억원이 편성됐다.
2025년 완공 예정인 서울에서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울릉공항 건설예정지인 울릉군 사동항 일대. ⓒ News1 김대벽 기자◇제주2공항·울릉공항 감액…공공임대도 반토막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분야에서 대규모 감액이 이뤄졌다. SOC 부문에서는 △산업단지(-30.3%) △항공·공항(-19.8%) △지역 및 도시(-19.4%) △철도(-9.6%) 순으로 감액폭이 컸다. 주택은 328억원(17.8%), 주택도시기금은 2조3334억원(6.5%) 감액됐다. 특히 항공·공항에서는 제주 제2공항, 울릉공항 예산이 각각 250억원, 285억원 감액됐다. 반면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12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공항은 2022년도 재정집행상황이 좋지 못한 점을 반영해 건설예산 668억을 감액했다"고 말했다.주택도시기금 가운데 공공임대(융자) 부문에서는 절반(49.5%)에 해당하는 1156억원이 감액됐다. 국민임대(융자) 예산은 60.1% 감액된 3001억원이 편성됐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임대예산이 많이 줄고 분양예산이 많이 늘었다"며 "청년원가주택 등을 키우면서 전체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임대의 정확한 물량 대해서는 연말 연구용역을 하고 공급계획을 발표한다"며 "필요하면 물량을 조정하고 예산도 수요를 확보하도록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서울=뉴스1) 김진 금준혁 기자 = 국토교통부가 2023년도 예산으로 55조9000억원을 편성했다. 올해 대비 약 4조2000억원 줄어든 규모로 전 부문에 걸쳐 감액이 이뤄졌다. 다만 청년원가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공공분양,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주거복지 등 국정과제 관련 사업 예산은 증액됐다. 국토부는 30일 내년도 총 예산을 올해보다 7% 줄어든 55조9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본예산(60조1000억원)에서 12조5000억원을 감축하고 8조3000억원의 재투자액을 합한 규모로, 정부 전체 총 지출(639조원)의 8.7%를 차지한다.회계별로 예산은 22조5000억원으로 1조9000억원(7.6%) 줄었고, 기금은 33조4000억원으로 2조3000억원(6.5%) 감축됐다. 분야별로 SOC는 19조9000억원으로 2조2000억원(10%), 복지는 36조원으로 2조원(5.3%) 줄었다. 국토부는 "새 정부의 '건전재정 전면 전환' 기조를 반영해 강력한 지출 재구조화를 통해 전년도 예산의 20% 수준의 지출 감축을 단행했다"며 "지출 감축으로 확보한 예산은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주거와 민생 안전, 미래혁신 분야에 투자한다"고 설명했다. ◇공공분양·청년주거·GTX 등 국정과제 사업 증액예산은 GTX, 청년주거, 취약계층 지원 등 국정과제 사업을 중심으로 확대·신규 편성됐다.우선 주거 부문에서는 공공분양 확대를 통한 내 집 마련을 위해 분양주택(융자) 지원 예산에 1조3955억원이 편성됐다. 당초 예산보다 1조793억원(341.3%) 늘린 규모다. 이 중에는 내년 승인될 것으로 예상되는 청년원가주택, 역세권첫집 5만4000가구 분양 예산도 포함됐다.저금리로 주택 구입 및 전세보증금 대출을 지원하는 금융지원 예산도 확대 편성됐다. 주택구입·전세자금(융자) 예산은 1조5270억원(16%) 늘어난 11조570억원, 주택계정 이차보전지원 예산은 3666억원(95.2%) 늘어난 7516억원으로 편성됐다. 이에 따른 수혜가구는 올해보다 2만6000명가량 늘어난 18만9000명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도심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 융자 지원 예산은 4676억원으로 1501억(42.3%) 확대됐고, 공공재개발 융자 이차보전지원 예산 2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주거 복지 관련 예산도 늘어났다. 쪽방·반지하 등 비정상거처 주민의 주거상향 시 보증금 무이자 대출 예산 2550억원 및 이사비 지원 예산 3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20만 청년가구에 전세보증금보증 보증료를 지원하기 위한 61억원, 전세사기로 인한 보증금 피해를 1%대 저리 대출로 지원하기 위한 166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주택 층간소음 갈등 예방을 위한 예산도 신규 편성됐다. 층간소음 성능보강 바닥시공(융자) 예산은 300억원, 층간소음 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비용(융자)도 8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지난 5월2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GTX-A 공사 현장에서 국토교통부로부터 공사 설명을 듣고 있다. 2022.5.2/뉴스1 ⓒ News1 인수위사진기자단SOC 부문에서는 GTX 적기 준공을 위한 예산이 총 673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A노선은 450억 늘어난 5059억원, C노선은 176억원 늘어난 1276억원으로 편성됐는데 내년도 집행 예산 규모는 218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B노선은 384억원으로 419억원 줄었다.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B노선은 지난해 재정·민자사업이 분리되면서 절차가 밀렸고, 사업진행 절차를 고려해 반영하다보니 (지표상 수치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광역BRT(5개소) 설계 및 공사비에는 129억원, 환승센터(8개소) 구축에는 132억원이 각각 책정됐다. SOC 건설 분야 예산은 감액된 반면 노후시설 유지 보수 및 재해 예방 등 SOC 안전관리 예산은 확대 편성됐다. 도로 부문 안전·관리 예산은 325억원 늘어난 2조7000억원으로, 철도 부문 안전·관리 예산은 3739억원 늘어난 3조5000억원으로 책정됐다. 국토안전관리원(611억원), 교통안전공단(803억원), 항공안전기술원(54억원) 등 안전 관련 기관 예산도 증액됐다. 정부가 서민들의 대중교통 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대를 추진하는 광역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원 예산은 124억원 늘어난 290억원으로 편성됐다. 저상버스·특별교통수단·휠체어 탑승가능버스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사업 지원 예산은 2배 이상 늘어난 2246억원으로 편성됐다.◇모빌리티·디지털트윈 등 신산업 예산도 증액미래 산업 예산도 대거 확대·신규 편성됐다.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종합지원체계 구축 등에는 30억원, 개인형이동장치(PM)·도심항공교통(UAM)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미래형 환승센터 구축계획 수립에는 1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오는 2025년 UAM 상용화를 위한 한국형 '그랜드 챌린지' 실증단지 2단계 구축 예산은 88억원 증액됐다. 2027년 완전자율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투자 예산에는 79억원 늘어난 304억원이 편성됐고, 자율주행 기반 구축을 위한 고정밀 도로지도 제작 및 도로대장 디지털화에는 각각 160억원, 20억원이 책정됐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한 국토공간 활용을 위한 고축척 디지털지도(1:1000) 제작 예산은 466억원 늘어난 566억원이 편성됐다. 에너지자립 등 스마트그린 기술을 적용한 기후변화 대응 산업단지 조성 국가시범산업 예산도 5억원 신규 편성됐다. 이밖에 국토교통 분야 연구개발(R&D) 투자(95건)에 대한 예산에는 신규사업 예산 517억원을 포함해 총 5570억원이 편성됐다.
2025년 완공 예정인 서울에서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울릉공항 건설예정지인 울릉군 사동항 일대. ⓒ News1 김대벽 기자◇제주2공항·울릉공항 감액…공공임대도 반토막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분야에서 대규모 감액이 이뤄졌다. SOC 부문에서는 △산업단지(-30.3%) △항공·공항(-19.8%) △지역 및 도시(-19.4%) △철도(-9.6%) 순으로 감액폭이 컸다. 주택은 328억원(17.8%), 주택도시기금은 2조3334억원(6.5%) 감액됐다. 특히 항공·공항에서는 제주 제2공항, 울릉공항 예산이 각각 250억원, 285억원 감액됐다. 반면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120억원이 신규 편성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공항은 2022년도 재정집행상황이 좋지 못한 점을 반영해 건설예산 668억을 감액했다"고 말했다.주택도시기금 가운데 공공임대(융자) 부문에서는 절반(49.5%)에 해당하는 1156억원이 감액됐다. 국민임대(융자) 예산은 60.1% 감액된 3001억원이 편성됐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임대예산이 많이 줄고 분양예산이 많이 늘었다"며 "청년원가주택 등을 키우면서 전체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임대의 정확한 물량 대해서는 연말 연구용역을 하고 공급계획을 발표한다"며 "필요하면 물량을 조정하고 예산도 수요를 확보하도록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